겨울 자동차 김서림 원인과 제거방법은 뭐가 있을까요?
겨울이 다가올수록 추워지는 날씨에 자동차가 뿌옇게 되어서 시야 확보가 잘 안 되어 굉장히 위험한 현상이 발생되고는 합니다.
또한 김서림은 겨울철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도 발생하며 김서림이 생기는 원인은 바깥과 내부의 온도 차이 때문입니다.
겨울철 바깥 온도는 춥지만 차량 내부는 사람에 의한 온기 그리고 차량히터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바깥 온도와 큰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여름철 바깥온도는 덥지만 차량 내부는 에어컨을 작동시켜서 시원하기 때문에 온도 차이가 크게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비가 오는 날 김서림은 좀 더 심하게 발생합니다.
또한 차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겨울철 화장실에서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할 때나 여름철 차가워진 음료수나 물병을 꺼냈을 때에도 발생합니다.
자동차 유리에 김서림이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서 방해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상황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김서림을 방지하고 제거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유리 김서림 제거 및 방지 방법
1.창문 열어서 환기시키기
자동차 김서림을 제거하는 가장 빠른 방법은 일단 자동차의 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창문을 열게 되면 더운 차량 내부 온도를 낮추고 실외와의 온도 차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김서림이 사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창문을 닫으면 다시 온도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환기를 시키는 것은 빠르고 효과적이지만 아주 일시적인 해결방법입니다.
2. 성에 제거 버튼 사용하기
겨울철 차가워진 바깥공기가 따뜻한 실내공기와 만나면서 차량 유리에 김서림이 발생하게 되는 것인데요.
이때 차량의 성에 제거(FRONT) 버튼을 사용하게 되면 차가운 공기가 앞 유리에 공급되면서 실내외 온도차를 줄여주어서 차 유리 안쪽의 김서림을 제거해 줍니다.
차량의 뒷유리의 경우 공조기의 공기가 쉽게 닿지 않기 때문에 뒷유리 열선(REAR) 버튼을 함께 사용하 시 것이 좋습니다.
사이드미러에도 열선이 들어가 있다면 사이드미러 김서림도 제거할 수 있습니다.
3. 공조기는 '외기 순환'
우리나라 겨울철 공기는 차갑고 건조합니다.
이 때문에 공조기를 내기 순환 모드가 아닌 외기 순환 모드로 바꾸면 차량 내부의 습도가 낮아져서 김서림이 제거되고 방지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황사가 있을 때는 내기순환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에어컨을 잘 사용하기
자동차의 에어컨을 사용하면 온도를 낮추는 동시에 습기 제고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추운 겨울철 에어컨 사용이 쉽지는 않습니다. 봄이나 가을, 여름철에도 비가 오고 날이 제법 쌀쌀한 날 시원한 바람이 나오는 에어컨을 선뜻 사용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사계절 내내 에어컨을 이용해서 효과적으로 김서림(습기)을 제거하는 방법을 하나 추천해드릴까 합니다.
김서림이 발생하지만 날이 춥거나 쌀쌀해 에어컨(AC)을 사용하기 꺼려지는 날에는 일단 에어컨을 켠 다음에 공조기의 온도조절 버튼이나 다이얼을 돌려 온도를 높여서 사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에어컨의 제습기능을 통해 습기는 제거되면서 따뜻한 바람이 나와서 춥지 않습니다.
5. 자동차 유리를 코팅하기
비누나 샴푸, 주방세제 등을 물과 5:5 비율로 섞어 부드러운 천에 살짝 묻혀 자동차 유리를 닦아주면 코팅효과가 있어서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