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kw1gRULYWTInAmtfZovQFlyl18GJrXkbAo_lxfkxf54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꾀병 , 뮌하우젠 증후군(Munchausen's syndrome)]

by 바이스 JUN 2022. 10. 30.
반응형

꾀병 뮌하우젠 증후군  Munchausen's syndrome에 대하여

 

뮌하우젠 증후군은 일명 우리 대한민국에서 꾀병이라고 불립니다.

 

그럼 꾀병이라고 불리는 뮌하우젠 증후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뮌하우젠 증후군(Munchausen's syndrome) 정의 및 원인

 

뮌하우젠 증후군 정의
증후군

 

 

뮌하우젠 증후군이란 실제로 아프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아프다고 거짓말을 하거나 자해를 하여 타인의 관심을 끌려고 하는 정신질환의 일종을 의미 합니다.

 

뮌하우젠 증후군은 주로 어린 시절에 과보호로 인해 자립 능력이 떨어져 어려운 상황을 회피하려는 사람 또는 어린 시절의 정신적 상처로 타인의 관심을 끄는 것에 집착하는 사람에게서 나타납니다.

 


뮌하우젠 증후군 증상 Munchausen's syndrome symptom

 

 

 

뮌하우젠 증후군 증상
뮌하우젠 증후군

 

 

뮌하우젠 증후군을 진단하기에는 매우 어려운데요. 환자의 과거 병력을 수집하여 확인하고 , 병과 증상이 의학적 사실과 유사한지 , 또는 특정 약물 치료나 수술 등을 요구한 기록이 있는지 탐색해봐야 합니다.

 

다음의 기준이 충족되면 , 뮌하우젠 증후군으로 진단합니다.

 

첫 번째, 의도적으로 신체적 , 심리적 증상을 만들거나 가장합니다.

 

두 번째, 이러한 의도적 행동에는 환자 역할을 하려는 동기가 있습니다.

 

세 번째, 이러한 의도적 행동은 외부적인 보상이 있는데 예를 들자면 ( 금전적 이득 , 법률적 책임으로부터의 회피 , 신체적 안녕 증진 등)을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뮌하우젠 증후군 치료법 Munchausen's syndrome treatment

 

뮌하우젠 증후군 환자는 의사가 자신의 증상을 의심하는 순간 거짓을 들키지 않게 하기 위해서 다른 병원으로 옮겨야 합니다. 

 

이런 거짓된 병으로 인해서 뮌하우젠 증후군은 환자를 제대로 치료하기가 어려우며, 나중에야 뮌하우젠 증후군임이 확인됩니다.

 

이렇게 하여 뮌하우젠 증후군으로 진단되더라도 , 이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이 질환의 특징이 기본적으로 증상을 속이는 질병이기 때문에 의사는 환자와 편안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불필요한 치료나 검사를 받지 않도록 잘 유도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