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kw1gRULYWTInAmtfZovQFlyl18GJrXkbAo_lxfkxf54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2 껌 삼켜도 될까? 껌을 삼키면 안되는 이유]

by 바이스 JUN 2022. 10. 8.
반응형

우리가 평소에 자주 씹는 껌 삼켜도 될까요?

우리는 나이가 들면서 판단력이라는 것이 더욱더 명확해지기 마련인데요.

 

그래서 어릴수록 판단력이 흐리기때문에 사고가 많이 일어납니다.

 

특히 어린이들은 껌을 씹다가 그냥 꿀꺽 삼켜도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껌 삼켜도 되는지 왜 껌을 삼키면 안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껌 삼켜도 될까?

 

껌 삼켜도 될까?
껌 삼켜도 될까?

 

 

 

껌 삼켜도 될까? 많은 분들이 예상하셨겠지만 일단 정답은 x입니다.

 

1. 소화가 안된 음식물들이 껌에 붙어 함께 배출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수로 껌을 삼키게 되면 그대로 대장으로 이동해서 큰 걱정을 하실 필요는 없지만 껌과 같이 소화가 되지 못하는 음식물들

예를 들어 과일 씨 같은 것들은 삼키게 될 경우 대장에 좁은 부분에 걸리면서 장폐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껌을 다량으로 삼키는 것은 위험하며 성인보다는 아직 성장이 덜한 어린이들한테는 성인에 비해 대장이 좁기 때문에 더 쉽게 장폐색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장폐색이란?

 

장폐색은 장이나 특히 소장이 부분적으로 완전히 막혀 음식물 , 소화액, 가스 등의 장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질환입니다.

 

막히게 되면 장에 마비현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어린아이들은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2. 목에 걸려서 질식할 위험이 있다.

 

 

 

 

 

껌 질식 위험

 

 

 

 

 

일단 껌을 삼키게 되면 목구멍에 걸릴 위험이 있습니다.

 

일단 껌을 좀 오래 씹게 되시면 굳어져가는 상태이기 때문에 삼켜도 호흡이 가능하지만 처음 씹었을 때 질겅질겅 대는 껌은 삼킬경우 굉장히 위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졸음 껌의 경우 껌을 씹다가 잠을 자는 경우가 있는데 아무리 피곤해도 반드시 껌을 뱉고 나서 잠을 자길 바랍니다.

 

그리고 습관적으로 삼키시는 분들이 시라면 항상 의식하셔서 습관을 고치시길 바랍니다.

 

 

 


 

 

 

3. 껌 자체의 유해물질이 우리 몸에 쌓일 수 있다.

 

 

 

 

 

 

 

껌 우리몸에 쌓일수 있다
하리보

 

 

 

 

 

현재 껌의 재료는 대부분 초산비닐수지인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초산비닐수지라는 재료는 우리 몸에서 흡수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소화기관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껌을 삼키셨다면 기름지거나 초콜릿이나 과자 같은 음식을 드시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껌은 기름과 섞이면 녹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삼켰는데 목에 걸리고 불편한 느낌이 드실 경우 기름진 음식을 드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예를 들어 피자, 치킨 같은 인스턴트 음식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