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 내일 채움 공제는 중소, 중견기업에 재직하는 청년들이시라면 꼭 알아야 하고 자식들 중 아직 모르는 분들이 계시다면 부모님분들도 꼭 알려주기 바랍니다.
그럼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조건, 중도해지 가능 여부 , 만기 해제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2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 및 지원내용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 및 지원내용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중소기업, 중견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청년들은 2년간 매일 12만 5천원씩 꾸준히 적금을 한다면 정부의 취업지원금
600만 원과 현재 속하고 있는 기업의 300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또한 2년 후 만기 공제금이 1200만 원입니다.
이제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요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대상 및 지원내용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조건은 나이 만 15세 이상 , 35세 이하이며 군필자의 경우에는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만 39세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에는 고용보험 이력 조건도 존재하며 정규직 취업일 기준으로 현재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어야 하며 최종학력 졸업 이후에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총 12개월 이하여야 합니다.
또한 3개월 미안의 단기 가입이력은 총 기간 내에서 제외되며 최종학력의 경우 방송통신대학교, 사이버대학교, 학점은행제
대학원 등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경우
1.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중도해지는 개인이 어떤 귀책사유에 따라서 환급금액이 달라집니다.
귀책사유: 권고사직 , 부도 , 고용보험 체납 , 등의 기업의 귀책사유가 될 수 있으며 이직, 본인 적금 미납 등의 이유로 청년의 귀책사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만약 기업의 귀책사유로 중도해지하는 경우에는 청년은 본인의 적금금액과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업지원금인 300만 원은 받을 수 없습니다.
예외인 경우에는 직장 내 괴롭힘 , 성희롱 등의 사유로 퇴직한다면 기업 기여금까지 받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3. 창업, 이직, 학업 등의 청년의 귀책사유로 중도해지하는 경우에는 본인의 적금금액과 정부지원금만 받을 수 있습니다.
기업지원금은 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부정수급으로 인정된다면 정부지원금 , 기업지원금 둘 다 받을 수 없으며 본인 적금금액만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내일 공제 조건 만기
1. 만기일이 되면 중소벤처기업 진흥공단으로부터 만기금 지급 대상 통보를 받습니다.
2. 만기 통보를 받았다면 청년 내일 채움 공제 홈페이지에서 지급신청을 하면 됩니다. (검색창에 워크넷이라고 치시면 됩니다 or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여기서 중요한 것은 만기금은 자동으로 지급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잊지 말고 꼭 신청을 해주셔야 합니다.
3. 만기 시에도 청년 자기 부담금 입금이 확인된다면, 기업 기여금 , 취업지원금이 모두 적립되어야만 만기금액 지급이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건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잊지 말고 자기 부담금을 정해진 날짜에 납부해야 하며 기업도 꼭 신경을 써서 지원금을 신청해주어야 합니다.
만약 6회 차 이상 미납일 경우 강제 중도해지가 됩니다.
잘 읽어보시면 많이 어려운 내용이 아니며 중도해지도 가능하니 부담 없이 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만 물러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워크넷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http://www.work.go.kr/youngtomorrow
댓글